5 Easy Facts About 일본직구쇼핑몰 Described
Wiki Article
그래서 보통 세금 면제 한도 내에서 구매하는 게 유리하다. 부가세 및 관세 수치는 품목에 따라 다르므로 관세청 등 해당 항목 참조할 것.
미국 핫딜 위주다 보니 아마존닷컴과 미국내 쇼핑몰들 위주의 핫딜과 세일정보가 올라온다. 미국핫딜이 가장 빠르게 올라오는 핫딜 사이트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미국 현지인, 현지 카드로만 결제 가능하게 만들어둔 것. 통곡의 벽이라고 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베스트바이와 월마트가 있는데, 베바는 구글쇼핑 앱을 here 통해 구매하는 게 그나마 뚫는 난이도가 낮다.
신선식품(제한): 야채, 우유, 달걀 같은 가공되지 않은 신선식품은 당연히 직구로 구매가 어렵다. 일단 창고 안에서 기다리는 시간 동안 신선도가 낮아지는 것은 물론이요, 검역을 거쳐야만 하는데 비용을 따지면 그냥 마트에서 파는 수입품을 사먹거나 현지 국가에서 사서 현지 국가에서 먹고 오는 게 낫다.
양평점을 제외하고 푸드코트에서 구매한 음식을 들고 매장으로 들어갈 수 없다.
국내에 출시하지 않는 제품: 국내에서는 못 구하는 물건이 있을 경우 해외직구에 손이 가게 된다. 이 경우는 정말 어쩔 수 없이 물건을 구할 경로가 그것 밖에 없으니 행하는 것으로 이 경우 가격도 저렴하고 애초에 물건 그 자체만 원해서 행한 구매이니 구매자 입장에선 딱히 손해로 느끼진 않는다.
외국 서적: 아예 직구가 필요 없지는 않고, 서적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다. 한국 서점에서도 외국 서적은 도서정가제가 적용되지 않으니, 외국 서적 중 한국 서점의 외서 목록에서 취급하는 서적은 그냥 그쪽을 쓰는 게 더 낫다. 국내에 재고가 없어서 서점에서 새로 주문하는 책도 마찬가지. 미국이나 일본 아마존, 혹은 현지 서점에서 아무리 저렴한 조건으로 주문하고 최저 비용으로 배송하더라도 한국 서점을 통해 주문하는 것보다는 싸게 살 수 없다. 대부분의 경우 배송료가 차익을 훌쩍 넘어가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는 도저히 찾을 수 없는 책들이어야 비로소 해외직구를 이용할 가치가 있다. 일부 오타쿠 관련 서적 중 특정 점포에서 점포 특전으로 사은품을 주는 경우가 있는데, 서적과 더불어 그런 사은품도 같이 받으려고 할 경우 한국 서점을 통한 구매는 불가능하므로 직구 또는 구매대행을 이용하는 수밖에 없다.
한국에서는 딸기넷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향수 제품이 많이 팔리고 있다. 홍콩, 한국을 포함하여 말레이시아, 대만, 호주, 미국, 일본 등 다양한 나라에서 직구 사이트로 운영하고 있다.
이는 결제를 마친 물건을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푸드코트에서 남의 카트를 통째로 훔치거나 카트가 바뀌는 걸 확인하고 방지하려는 것. 푸드코트에는 비회원도 들어올 수 있기 때문. 점포의 규모가 큰 월마트는 전자태그 확인기를 출구에 두어서 상품의 계산이 제대로 되었는지 마지막으로 확인하기까지 한다.
중국 셀러가 굉장히 많다.(특히 의류, 코스프레 쪽으로) 물론, 일본인에게 판매하는 것을 전제로 장사하기 때문에 일본어로 소통이 가능하지만, 이쪽에서 살 경우 플랫폼만 일본 아마존일 뿐, 중국에서 배송이 오거나, 중국에서 출발해 일본을 경유해서 오게 된다.
하지만 그럼에도 기본적으로 정가에서 할인이 들어간 상태에서 판매를 하고 있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곳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구류: 사실 저가의 문구류는 배송비와 관부가세를 생각하면 정식 수입된 제품을 사용하는 편이 대체로 좋다. 다이소나 천원마트 등에서 저렴한 제품들을 얼마든지 살 수있다. 다만 국내에 정식 수입되지 않는 저가 문구류는 어쩔 수 없이 직구를 해야 한다. 이 경우 중국 쪽의 무료 배송이 가능한 셀러들을 이용한다면 배송비의 부담을 덜 수 있다. 만년필같은 고가의 필기구는 해외 직구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배송은 미국 본토 내에서 배대지로 보내는 시간이 있어서 좀 걸리는 편인데, 자기가 이용하려는 배송대행지가 동부인지 서부인지 잘 알아보고 판매자의 주소도 잘 확인하자.
살아있는 동물 또는 식물(금지): 역시 전염병 확산 우려 등을 이유로 수입할 수 없다. 물론 동물원 등의 운영에 대비해서 검역과 각종 허가 절차를 거치면 수입이 가능하지만, 개인 차원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
Report this wiki page